21C뜨는 사업
청년창업 실전 준비방법
핫이슈정리왕
2005. 7. 3. 01:38
청년창업 실전 AtoZ
1. 창업자로서의 적성 체크_ 새로운 일을 시작하는 데 있어, 과연 창업을 하는 것이 나의 적성에 맞는 것인지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나는 프로정신이 있는가? 나는 자존심을 버릴 수 있는가? 나는 아무것도 없는 밑바닥 상황에서부터 시작할 수 있는가…
2. 사업 아이템에 대한 충분한 시장조사와 사업타당성 분석_ 사업을 시작하기에 앞서 사업계획서 작성은 중요한 일이다.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면서 충분한 시장성 검토와 기술성, 시장성, 수익성 등 사업타당성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래야만 창업 리스크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3. 자신의 적성에 맞는 창업 아이템 선정_ 창업 아이템을 선정함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그 일이 자신의 적성에 맞는가를 체크해 보는 것이다. 최근에는 자신의 전문분야를 살려 창업하는 커리어 창업이 늘고 있는 추세. 선정할 아이템에 어느 정도 접근할 수 있는가, 또 얼마나 장기적으로 지속할 수 있는가에 대해 재고하여 보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아이템 선정에 있어서는 기존 아이템보다는 틈새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새로운 업종을 공략하는 것이 좋다. 이 부분은 20대만이 할 수 있는 특권이기도 하다.
4. 충분한 사전 정보수집_ 창업을 하는 데 있어 자신이 창업하고자 하는 업종의 인허가 조건을 명확히 파악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사업 아이템의 특성상 인허가를 받아야 하는 사업인 경우에는 사업자등록을 신청하기 전에 사업허가증을 받아야 사업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관련 세무 지식이나 관렵 법에 대해서 철저히 준비하는 것이 좋다. 한편 사업상 계약은 충분한 사전 조사를 한 뒤 진행하여야 한다.
5. on-OFF 통합 운영방식은 필수_ 오프라인을 중심으로 기반을 다지고, 온라인의 편리한 서비스로 승부한다. 정보화 시대에 인터넷은 필수다.
6. 수익창출 목표를 구체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중요_ 사업의 어느 곳에서 수익을 낼 것인지, 잘 안될 경우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울러 초기 창업에는 수익보다는 안정성을 목표로 잡아야 한다.
7. 창업자금의 50% 이상은 내 돈으로_ 전체 창업자금의 50% 이상은 자비로 하는 것이 좋다. 자금 부족 부분은 각종 투자지원 제도를 이용하자. 정부 정책자금이나 창업지원센터를 활용하는 것 또한 좋은 방법이다. 또한 투자금액의 최소 3%~5% 수익이 발생해야 사업체를 유지할 만한 가치가 있다는 것도 명심하자.
8. 창업 전문가 양성과정은 필수_ 중소기업청, 한국여성경제인협회 등 각급 기관, 단체와 月刊 <창업&프랜차이즈> 등 창업 전문회사에서 운영하는 창업자, 경영자 양성 과정은 반드시 거쳐야 할 필수 요소다. 창업 후 필요한 법률, 세무, 엔젤, 자금 등 각 전문가 그룹에게 실질적인 자문을 받을 수 있고, 교육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인적 네트워크 또한 폭넓게 활용할 수 있다.
9. 꾸준한 변화는 사업 발전의 활력소_ 창업 이후 사회의 흐름을 파악하고, 그에 맞추어 지속적인 업그레이드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여러 아이템을 하려고 하는 것보다는 한 우물을 파는 것이 좋다. 무엇을 하든지 그 분야의 전문가가 되어야 살아남는다.
10. 성공의 열쇠는 마케팅이다_ 마케팅은 고객의 니즈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그를 위해서는 자신이 선정한 아이템의 타깃 고객을 정하고, 그들의 요구를 충분히 분석해야 한다. 앞의 사례처럼 인터넷 쇼핑몰을 준비하는 사람이 옥션에서 직접 물건을 팔아 보면서 고객의 신뢰도와 인지도를 쌓는 것도 한 방법이다.
1. 창업자로서의 적성 체크_ 새로운 일을 시작하는 데 있어, 과연 창업을 하는 것이 나의 적성에 맞는 것인지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나는 프로정신이 있는가? 나는 자존심을 버릴 수 있는가? 나는 아무것도 없는 밑바닥 상황에서부터 시작할 수 있는가…
2. 사업 아이템에 대한 충분한 시장조사와 사업타당성 분석_ 사업을 시작하기에 앞서 사업계획서 작성은 중요한 일이다.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면서 충분한 시장성 검토와 기술성, 시장성, 수익성 등 사업타당성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래야만 창업 리스크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3. 자신의 적성에 맞는 창업 아이템 선정_ 창업 아이템을 선정함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그 일이 자신의 적성에 맞는가를 체크해 보는 것이다. 최근에는 자신의 전문분야를 살려 창업하는 커리어 창업이 늘고 있는 추세. 선정할 아이템에 어느 정도 접근할 수 있는가, 또 얼마나 장기적으로 지속할 수 있는가에 대해 재고하여 보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아이템 선정에 있어서는 기존 아이템보다는 틈새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새로운 업종을 공략하는 것이 좋다. 이 부분은 20대만이 할 수 있는 특권이기도 하다.
4. 충분한 사전 정보수집_ 창업을 하는 데 있어 자신이 창업하고자 하는 업종의 인허가 조건을 명확히 파악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사업 아이템의 특성상 인허가를 받아야 하는 사업인 경우에는 사업자등록을 신청하기 전에 사업허가증을 받아야 사업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관련 세무 지식이나 관렵 법에 대해서 철저히 준비하는 것이 좋다. 한편 사업상 계약은 충분한 사전 조사를 한 뒤 진행하여야 한다.
5. on-OFF 통합 운영방식은 필수_ 오프라인을 중심으로 기반을 다지고, 온라인의 편리한 서비스로 승부한다. 정보화 시대에 인터넷은 필수다.
6. 수익창출 목표를 구체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중요_ 사업의 어느 곳에서 수익을 낼 것인지, 잘 안될 경우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울러 초기 창업에는 수익보다는 안정성을 목표로 잡아야 한다.
7. 창업자금의 50% 이상은 내 돈으로_ 전체 창업자금의 50% 이상은 자비로 하는 것이 좋다. 자금 부족 부분은 각종 투자지원 제도를 이용하자. 정부 정책자금이나 창업지원센터를 활용하는 것 또한 좋은 방법이다. 또한 투자금액의 최소 3%~5% 수익이 발생해야 사업체를 유지할 만한 가치가 있다는 것도 명심하자.
8. 창업 전문가 양성과정은 필수_ 중소기업청, 한국여성경제인협회 등 각급 기관, 단체와 月刊 <창업&프랜차이즈> 등 창업 전문회사에서 운영하는 창업자, 경영자 양성 과정은 반드시 거쳐야 할 필수 요소다. 창업 후 필요한 법률, 세무, 엔젤, 자금 등 각 전문가 그룹에게 실질적인 자문을 받을 수 있고, 교육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인적 네트워크 또한 폭넓게 활용할 수 있다.
9. 꾸준한 변화는 사업 발전의 활력소_ 창업 이후 사회의 흐름을 파악하고, 그에 맞추어 지속적인 업그레이드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여러 아이템을 하려고 하는 것보다는 한 우물을 파는 것이 좋다. 무엇을 하든지 그 분야의 전문가가 되어야 살아남는다.
10. 성공의 열쇠는 마케팅이다_ 마케팅은 고객의 니즈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그를 위해서는 자신이 선정한 아이템의 타깃 고객을 정하고, 그들의 요구를 충분히 분석해야 한다. 앞의 사례처럼 인터넷 쇼핑몰을 준비하는 사람이 옥션에서 직접 물건을 팔아 보면서 고객의 신뢰도와 인지도를 쌓는 것도 한 방법이다.
글·사진 박정경
月刊<창업&프랜차이즈> 12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