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기업
삼성의 인맥구축 네트워크
핫이슈정리왕
2005. 8. 9. 07:50
2005년 8월
4일 (목) 09:38 경향신문 | |||
“삼성의 ‘인맥 구축’은 로비용” | |||
삼성그룹이
고위공무원·판검사·언론인 등 영향력이 있는 인사들을 대거 영입해 ‘문어발식 인맥’을 형성하고 있다는 참여연대의 분석 결과가
나왔다.
참여연대는 “삼성이 특정 현안과 관계있는 관료·법조인을 집중 영입해 로비스트나 방패막이로 이용하고 있다”며 “‘사람’을 데려오는 것은 문제가 아니지만 ‘정보와 인맥’을 가져오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삼성의 인적 네트워크=참여연대는 3일 삼성그룹에 취업한 고위공직자(5급 이상)·법조인·언론인과 소속 계열사의 사외이사 및 재단이사, 삼성출신 정치인·법조인·고위공직자 등 278명의 경력과 영입 시점 및 상황 등을 조사한 ‘삼성의 인적 네트워크를 해부한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참여연대가 국정감사 자료, 삼성계열사 사업보고서, 언론사 자료 등을 분석·종합해 만든 이 보고서에 따르면 삼성에 취업한 고위공직자는 모두 44명, 법조인은 28명에 달했다. 출신 지역은 영남(90명)이 호남(21명)의 4배를 넘었고 출신 대학은 서울대(159명)가 58.5%로 압도적이었다. 최근 10년간 삼성에 취업한 공직자 중 82.4%가 재정경제부·금융감독위원회 등 감독기구나 검찰·경찰 등 사법기관 출신이었다. 참여정부 출범 이후 영입된 관료나 법조인은 모두 56명으로 이전 3년간 영입된 인원(37명)보다 크게 늘었다. 김상조 참여연대 경제개혁센터 소장은 “관료나 법조인은 현안을 맡는 해결사로, 학계나 언론계 인사는 우호적 여론을 조성하는 홍보 역할을 맡기고 있다”고 말했다. ◇무엇이 문제인가=참여연대는 삼성이 관료나 법조인을 영입하는 그 자체보다 이들을 영입할 당시의 상황이나 영입 목적에 문제점이 많다고 지적했다. 참여연대는 “삼성이 이재용씨의 삼성SDS 신주인수권부사채(BW)와 관련된 탈세 문제가 불거진 2000년 이후 전 국세청 차장 등 8명의 국세청 전직 관료를 사외이사로 영입했다”고 밝혔다. 1998~99년 4차례 공정거래위원회의 부당내부거래 조사로 4백85억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은 후에는 공정위 부위원장 등 공정위 전직 관료 5명을 영입했다. 자동차산업 진출 직후인 95년부터 불과 1년 사이에 산업자원부(당시 통상산업부) 관료 4명이 삼성행을 택했다. 참여연대는 ㅈ상무(전 공정위 국장), ㅇ전무(전 금감원 국장), ㅇ상무(전 검사) 등은 영입과정에서 퇴직연도와 삼성 취업연도가 같아 ‘퇴직 후 2년내 업무 관련 기업에 취업하지 못한다’는 공직자윤리법 위반 소지가 있다고 밝혔다. 참여연대 김기식 사무처장은 “삼성의 인적 네트워크가 로비스트나 현안에 집중되고 있다”며 “공직자윤리법 강화 등 ‘회전문’을 차단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우수인재 채용이 목적”=이에 대해 삼성은 수긍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삼성측은 “무한경쟁 환경에서 국제 경쟁력 제고와 생존 차원에서 연간 1,000명 정도의 우수 인재를 채용하고 있다”면서 “관료나 법조인들의 영입도 우수인재 채용의 하나로 채용인원 전체로 보면 극소수”라고 해명했다. 〈정홍민기자 psgull@kyunghyang.com〉 |
[ 기사제공 ] 경향신문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