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몸건강 - 정리

신생아 건강관리 요령

핫이슈정리왕 2007. 11. 19. 11:12
아기를 낳는 것도 힘들지만,기르는 것은 더 많은 인내와 책임을 요구한다.

신생아 건강관리 요령을 알아본다.


♤ 수유 :산모 건강에 문제만 없다면 모유를 먹이는 게 바람직하다. 산모는 하

루 평균 1,000㏄의 모유를 생산한다. 모유는 대부분 물(88%)로 구성돼 있

고, 탄수화물(6.5~8%), 지방(3~5%), 단백질(1~2%), 소금(0.2%)이 약간 포

함돼 있다. 신생아는 출산 후 3일간 고단백 액체인 초유(初乳)를 받아먹게 된

다. 초유는 신생아의 면역체계를 강화하고 장운동을 촉진시킨다. 또 모유를 장

기간 먹으면 질병과 싸우는 항체가 형성된다. 산모도 성선자극호르몬과 여성호

르몬의 분비가 억제돼 자궁이 정상크기로 빨리 회복되는 등 산후조리에 도움이

된다. 젖은 한 번에 유방이 다 비워지도록 먹이는 게 좋다. 유방에 젖이 남아

있으면 모유생산이 중지되기 때문. 수유기간엔 대개 월경이 일어나지 않지

만, 배란은 가끔 일어나므로 임신이 될 수도 있다. 월경 없이 임신이 되면

까맣게 모르는 경우가 많아 이렇게 태어난 아기를 「까막아기」라고도 부

른다. 신생아는 엄마 품에 안겨 젖을 빨고 심장박동을 들으면서 정신적 안정감

을 느끼게 된다.모유를 먹인 산모는 유방암 발생률도 낮은 것으로 보고돼 있다

다.



♤ 구토: 모유나 우유만 먹는 생후 6개월까지 아기들에서 가장 자주 나타나는

증상. 위가 꽉 찰 정도로 과식하거나 트림을 할 때 잘 토한다. 대개 걷기

시작할 무렵이면 저절로 좋아지므로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1~2세가 지나도 호전되지 않는 경우엔 강한 위산이 오랫동안 식도로 역류

해 식도염과 식도궤양이 생겼을 가능성이 큰 만큼 적절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



♤ 아기가 자주 토할 때: 소음 등에 놀라지 않도록 안락하고 조용한 환경을

만들어 줘야 한다. 또 앉은 상태에서 조금씩 자주 먹이되 과식은 피하는

게 좋다. 먹일 때는 적어도 3~5분마다 트림을 시키고, 완전히 먹인 후에는

의자에 앉히거나 안고서 10~15분 직립자세를 유지하는 게 좋다.



♤ 누이기: 신생아의 두뇌발달과 관련해 오랫동안 논란이 돼온 문제. 최근엔

엎어 키우는 것보다 바로 누이거나 옆으로 뉘어 키우는 게 더 안전한 방법

으로 권장되고 있다. 하지만 자주 토하는 젖먹이의 경우 바로 누이면 토한 우유

가 기도로 넘어갈 위험이 있어 머리쪽을 높게 해 엎어 키우는 방법이 바람직하

다.


♤ 설사:설사의 대부분 바이러스성 장염이 원인. 심하면 하루 10회 이상 물똥

을 싼다. 감염 첫 날은 토하고 열만 있어 감기로 혼동하기 쉽다. 4~5일 설사를

하다 저절로 낫는 경우가 많지만, 간혹 탈수가 심해지면 사망할 수도 있다.

설사가 심할 때는 분유나 모유 대신 포도당 전해질 용액을 먹여야 한다.

설사가 줄었지만 계속 되는 경우엔 분유를 보통 때보다 희석해 먹이는 게

좋다. 전해질 용액은 소아과의원이나 약국에서 쉽게 구할 수 있다. 서울대병원

소아과 서정기교수는 『바이러스성 장염은 대부분 대변에 있는 바이러스가

아기의 입에 들어와 전염되는 만큼 손을 자주 씻겨줘야 한다』고 조언했다.



♤ 호흡곤란: 건강한 아기의 숨소리는 조용한 바람소리 같이 부드럽다. 그렁그

렁 대거나 휘파람 같은 소리가 나면 기관지에 이상이 생긴 것으로 볼 수

있다. 가장 먼저 생각할 수 있는 원인은 기관지 천식. 찬 바람만 쏘이면 기침을

하고 쌕쌕거리는 소리를 내는 게 특징이다. 기관지염과 기관지 확장증, 흡

인성 폐렴 등도 호흡곤란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내몸건강 -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지방 3배속으로 태우기  (0) 2007.11.28
내장비만 잡기  (0) 2007.11.20
노인의 초겨울 건강관리 요령  (0) 2007.11.19
설연휴 건강관리 요령  (0) 2007.11.19
수험생 영양관리  (0) 2007.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