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10월
28일 (금) 02:54 조선일보 |
"지금 사면 손해" 손님 20~30% 줄어 |
[조선일보 김기홍, 백승재 기자] 27일 서울 광진구 테크노마트 휴대전화 매장은 한산했다. 휴대전화 매장 진열대 서너곳에 손님은 한두명에 불과했다. 휴대전화 판매점인 강변통신의 배영섭 사장은 “단말기 보조금 허용 방침이 알려지면서 손님이 10~15% 줄었다”고 말했다. 지앤텔레콤 이기훈 사장도 “계절적인 비수기인 여름보다도 20~30% 고객이 더 줄었다”며 “앞으로 더 심해질까봐 걱정”이라고 말했다. 휴대전화를 싸게 살 수 있도록 단말기 보조금을 일부 허용한다는 정부 방침이 알려지면서 소비자들은 ‘눈치 보기’에 들어갔다. 서울 테크노마트·용산전자랜드 등 주요 휴대전화 매장은 구매 고객 대신 “내년에 얼마나 싸지느냐” “지금 가도 할인해주느냐”는 문의가 넘치고 있다. ![]()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도 네티즌들은 단말기 보조금에 대한 관심이 높다. 휴대전화 사용자 사이트인 세티즌(www.cetizen.com)·뭉클(www.muncle.com) 등에는 “D600(삼성전자 블루블랙폰 후속 모델) 내년에 싸게 사야겠네요” “얼마나 싸질까요” 등의 댓글이 이어지고 있다. 정석희 세티즌 마케팅리서치팀장은 “단말기 보조금이 이슈화되면서 휴대전화 쇼핑몰 판매량이 계속 감소 추세”라고 말했다. 당초 매장 관계자들은 단말기 보조금 허용으로 내년도 ‘특수(特需)’가 온다는 기대에만 들떠 있었다. 그러나 소비자들이 정작 휴대전화 교체시기를 미루는 조짐이 보이자 표정이 복잡해졌다. 이들은 최대 성수기인 4분기 매출이 타격을 받을까봐 우선 걱정이다. 내년 초 새 단말기 보조금 제도가 미칠 영향도 되짚어보고 있다. ![]() 한 휴대전화 대리점 사장은 “복잡해진 새 규제 내용이 과연 현장에서 잘 지켜질지 걱정된다”며 “보통 휴대전화 교체주기가 1~2년인데, 이동통신 회사들이 과연 장기 가입자에게만 보조금을 주겠는가”라고 말했다. 또 다른 매장 관계자도 “시장 논리를 거슬러 규제가 복잡해지면서 소비자와 대리점만 괜히 범법자가 되는 게 아닌지 걱정”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내년 이동통신사들이 ‘돈싸움’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보조금이 존재하던 1999~2000년중 이동통신사들은 평균 가입자 1명을 확보하는 데 들어간 비용은 23만원을 들였다. 보조금 금지 이후인 2000~2005년 들인 평균 가입자 확보 비용은 8만원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적어도 (가입자) 한 명에 15만원은 (통신업계가) 쓸 것”이라고 말했다. 단말기 업계도 ‘걱정반 기대반’이다. 이들의 걱정은 사실 보조금 혜택을 받지 못할 소비자가 더 많은데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이 제도를 착각해 휴대전화 교체시기를 괜히 올해에서 내년으로 대거 미루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론 보조금 지급이 허용되면서 일시에 판매량을 올릴 수 있을 것으로도 기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부 업체는 연말로 예정된 신제품 출시 시기를 내년초로 미루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휴대전화 업체 관계자는 “보조금 합법화 과정에 따라 당분간 시장 상황을 지켜본 뒤 필요하다면 마케팅 전략을 새로 짤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기홍기자 [블로그 바로가기 darma90.chosun.com]) (백승재기자 [블로그 바로가기 whitesj.chosun.com]) |
'휴대폰&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전자 스마트폰 세계 최초 개발 (0) | 2005.11.08 |
---|---|
문자메세지. 아직도 돈 다 내세요? (0) | 2005.11.02 |
휴대전화, 오래 쓰면 망한다? (0) | 2005.09.27 |
국내 내수용 핸드폰이 더 비싼이유 (0) | 2005.09.23 |
내수용 휴대전화,수출가보다 2배 비싸 (0) | 2005.09.22 |